측부인대손상 정의
무릎 관절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내측 및 외측 측부인대가
외상으로 인해 손상되는 것을 말합니다.
내측 측부인대는 무릎이 바깥쪽으로 꺾이는 것을 방지하고,
외측 측부인대는 안쪽으로 꺾이는 것을 막아 무릎을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측부인대가 손상되면 무릎의 불안정성과 통증이 발생하며,
손상의 정도에 따라 보존적 치료 또는 수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측부인대손상 통증의 원인
측부인대가 손상되면 무릎이 X자 형태로 꺾이면 내측부 손상,
O자 형태로 꺾이면 외측부 손상이 발생합니다.
손상 부위의 염증과 부종이 신경을 자극해 통증을 유발하며,
무릎의 불안정성으로 인해 관절이 정상 위치를 유지하지 못해 반복적인 자극이 가해집니다.
이를 방치하면 연골 손상과 퇴행성 변화로 이어질 수 있어 조기진단 및 치료가 필요합니다.
측부인대손상
주요 원인
-
No.1
무리한 운동으로 인한 손상
반복적인 점프, 방향 전환, 급정지 등의 동작이 무릎 인대에 지속적인 스트레스를 가해 손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No.2
스포츠 활동 중 발생하는 충돌 및 비틀림 손상
축구, 농구, 스키 등 격렬한 스포츠 중 상대 선수와의 충돌이나 갑작스러운 방향 전환으로 무릎이 비틀리면서 인대가 손상될 수 있습니다.
-
No.3
외부 충격으로 인한 외상
교통사고, 넘어짐, 낙상 등 외부에서 가해지는 강한 충격이 무릎 측부인대를 손상시키는 주요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측부인대손상
주요 증상
-
국소적인 무릎 통증
손상 부위 주변에 압통이 나타나며, 무릎을 움직이거나 외부 압력이 가해질 때 통증이 심해질 수 있습니다.
-
부기 및 염증 반응
인대가 손상되면 출혈과 염증 반응으로 인해 무릎이 붓고, 열감과 함께 뻣뻣한 느낌이 들 수 있습니다.
-
관절 불안정성
인대의 역할이 약해지면서 무릎이 흔들리는 느낌이 들거나 갑자기 힘이 풀려 균형을 잡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
무릎 가동 범위 제한
손상 정도에 따라 무릎을 완전히 펴거나 구부리기 어려워지고, 일정 각도에서 통증이 유발될 수 있습니다.